DonPush
"아빠가 돌아가셨는데, 왜 사촌오빠가 상주인가요?"
📱갤럭시📱
2020.01.22 18:15
654

“아빠가 돌아가셨는데, 아들이 없다고 사촌 오빠가 상주를 했어요.”

호주(戶主)제가 폐지된 지 15년이 지났는데도 남성이 상주(喪主) 역할을 해야 한다는 가부장적 관습으로 인해 이처럼 외동딸 등 여성이 상주 역할을 포기해야 하거나 주요 결정에서 소외되는 등 상식 밖의 장례 문화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최근 5년간 장례를 치른 1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30명을 상대로 면접조사를 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 응답자의 94.5%는 ‘상주 역할을 하는 것은 주로 남성이었다’고 답했다. 또 95.3%가 영정사진과 위패를 드는 것은 남성 몫이었다고 답했으며, 76.6%는 중요한 의사결정 권한이 남성에게 있었다고 답했다. 89.5%는 상주 역할을 한 남성이 제사를 모셨다고 밝혔다.

반면 85.4%는 ‘음식을 준비하고 조문객을 대접하는 일은 주로 여성이었다’고 답했다. 남성이 중심이 되고 여성은 주변으로 물러나 있는 성차별적 장례문화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현실’에도 응답자의 과반수는 장례에서의 고정된 남녀역할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 ‘상주는 남성이 해야 한다’는 말에 동의한 응답자는 40.0%에 그쳤다. ‘여성은 음식을 준비하고 조문객을 대접해야 한다’는 질문에 69.6%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기존의 장례방식이 1인 가구, 비혼 증가 등 최근의 가족 변화와 맞지 않는다는 데 동의한 비율도 85.8%에 달했다. 상주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36.1%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하기도 했다. 주로 여성과 젊은 세대일수록 가부장적 장례문화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응답자의 89.2%는 ‘성별에 따라 역할을 한정하고 차별하는 제사 문화는 개선돼야 한다’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고비용·허례허식의 장례보다는 형식과 절차를 간소화한 ‘작은 장례식’에 대한 요구도 드러났다. 특히 장례 기간과 관련, 2명 중 1명은 “3일장도 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가족 나름의 가치와 의사를 반영하기보다는 제공된 매뉴얼에 따라 경황없이 치르다 보니 장사방식은 현대화됐지만 가부장적 문화에 대한 성찰은 하지 못했다”며 “추모와 애도라는 장례의 본질은 남기고, 불합리한 성별 역할 구분과 위계로 구성된 의례를 걷어내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0/400)자 이내 저장됩니다.)

댓글 6

구글 추천 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