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Push
허리디스크 치료는 천천히? '이럴 땐' 응급수술 필요
⚽️⚽️축구⚽️⚽️
2023.09.23 19:15
132

척추가 건강해야 삶의 질이 높다. 부모님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라도, 이번 추석에 부모님의 행동을 유심히 살펴보자. 척추 수술이 꼭 필요한 ‘응급 상태’일 수 있다.

◇대변 못 보거나 걸을 때 다리에 힘 풀린다면 '응급'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은 비교적 진행속도가 느린 퇴행성 질환이라 응급 수술과는 거리가 먼 질환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허리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도 응급 수술이 필요할 때가 있다. 바로 신경마비가 생기면서, 대소변이 안 나올 때이다. 강북연세병원 최일헌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마미증후군’이라고도 하는 이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며 "응급 수술을 받지 않으면 배변·배뇨 기능이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있어도 빠른 수술이 꼭 필요하다. 최일헌 원장은 "이는 신경이 눌려 다리에 힘이 빠지고 근육이 줄어든 탓인데, 방치했다가는 나중에 치료해도 이전과 같이 걷기가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허리 통증이 심해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신경주사를 맞아도 3개월간 효과가 없는 상태일 때도 빠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위와 같은 증상이 있는데 치료를 미루면 수술 성공률이 낮고, 수술 후 재활 기간도 한 달 이상으로 길어진다. 최일헌 원장은 “막연한 척추 수술에 대한 부담 때문에 부모님이 억지로 통증을 참는 건 아닌지 꼭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척추 질환 초기에는 주사로 통증 완화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허리 질환의 95%는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만으로 좋아진다.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척추 통증에는 약이나 신경주사(스테로이드·국소마취제)가 기본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허리 통증이 어느 정도 개선되면 운동을 통해 재발을 막으면 된다.

하지만 5%의 환자는 결국 수술을 해야 한다. 최일헌 원장은 "수술은 적기에 시행해야 효과가 높다"고 말했다. 통증이 100인 상태에서, 수술 후에는 통증이 20으로 줄어든다. 남은 통증은 이후 최대 1년에 걸쳐 서서히 마저 줄어든다. 최 원장은 "수술을 미루면 통증이 줄어드는 정도가 작고, 회복 기간도 더 오래 걸린다"고 밝혔다.

◇일상생활이 불편하다면, 적극적인 치료
목, 허리 통증은 서서히 진행한다. 이미 통증이 만성화 단계인 부모님들은 오히려 수술을 하라고 할까 봐 병원 방문 자체를 기피하는 경향도 있다. 하지만 통증이 12주 이상 지속하거나 다리를 절뚝이는 등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수술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해야 한다.

최신 척추 수술은 과거와 달리 부작용도 적고, 빠른 일상 복귀도 가능하다.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 수술도 최근엔 대부분 내시경으로 진행된다. 과거에는 피부를 10cm 이상 절개해 척추를 드러낸 뒤 나사못을 박는 식의 ‘대수술’이 주를 이뤘다. 큰 수술이다보니 수술 후 주변 근육이나 관절이 많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내시경을 이용하면 허리에 5mm의 작은 구멍을 두 개 내고, 특수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해 치료가 가능하다. 내시경으로 보면서 흘러나온 디스크를 제거하고, 두꺼워진 인대나 뼈를 잘라낸다. 이를 ‘양방향 척추 내시경술’이라고 하는데, 수술 기구 움직임의 제한이 적고 선명하게 잘 보이기 때문에 성공률이 높다.

최일헌 원장은 "척추치료의 최종 목표는 일상 복귀"라며, "내시경 수술법은 절개 부위가 작아 후유 통증도 훨씬 적다보니, 대부분 3일이면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퇴행성 변화가 나타난 척추는 치료해도 다른 부위에서 통증이 재발하기 쉽다"며 "주치의와 상의하면서 개인별 척추상태에 맞는 꾸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부모님 자세 개선 돕고 운동 권유를
척추 질환은 수술을 받았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 당장 문제를 일으키는 것만 제거했을 뿐 나쁜 생활습관이 변하지 않으면, 다른 부위에서 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체중 조절, 자세 교정, 운동 등으로 평생 관리해야 한다.

최일헌 원장은 “부모님이 쪼그려 앉거나, 무거운 짐을 들거나, 양반다리를 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알려 드리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길 바란다”며 “관리하지 않으면 척추가 더 망가질 수 있다는 걸 꼭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400)자 이내 저장됩니다.)

댓글 10

구글 추천 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