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Push
“돈 더 필요하세요?” 소방관 아들 잃은 아버지는 울었다
⚽️⚽️축구⚽️⚽️
2022.08.10 18:16
280

년 9월 17일. 해가 뜨지 않은 새벽녘에 인담의 스마트폰이 울렸다. 순직 소방관 업무를 보는 인담에게 이 시간에 전화가 올 일은 많지 않았다. 불안한 마음으로 받았다.

“주임님, 강릉에서 화재 진압 중에 순직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불길한 예감은 틀리지 않았다. 소방청 상황실에서 걸려온 긴급 전화였다.

“알겠습니다. 바로 출근할게요.”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에서 외청(소방청)으로 나온 지 두 달 만에 생긴 일이었다. 인담이 그토록 피하고 싶던 순직 사고 업무를 처음으로 맡게 됐다.

장례식장에 놓을 훈장을 준비해 강릉으로 먼저 보냈다. 윗선에 올릴 보고서를 작성하고 대통령, 총리 명의의 조화와 조의금을 신청했다. 강릉에는 이틀 뒤 영결식 당일 아침에야 도착할 수 있었다. 검은 정복을 입은 소방관들이 이미 자리에 앉아 있었다. 소방관 두 명의 얼굴이 수천 송이의 하얀 국화에 둘러싸여 있었다. 그 위에 적힌 하얀색 글씨.

고 이영욱 소방경, 고 이호현 소방교.

남편이 받을 수 없는 편지

아내 이연숙은 영욱의 죽음을 믿지 못했다. 몇 달 전 강원 지역에 큰 산불이 났을 때는 정강이뼈가 드러나 보일 정도로 다치고서도 집에 돌아와 웃던 남편이었다. 소방관으로 30년 가까이 일하며 홀로 외지에 있을 때도 힘든 내색 한 번 안 했던 그이였다. 휴가 때 큰불이 나면 연숙과 여행을 떠났다가도 소방서로 부리나케 달려가던 양반이었다.

‘이렇게 빨리 가려고 평생 줄 정을 미리 쏟아 준 걸까.’

영욱과 연숙은 서로에게 늘 다정했다. 어쩌다 연숙이 혼자 마트에 장을 보러 가면 직원들은 웬일로 혼자 왔냐고 물었다. 비가 오는 날엔 안목해변으로 드라이브를 나가 자판기 커피를 뽑아 마시며 커피거리를 거닐었다. 강릉 어디에나 남편과의 추억이 묻었다.

연숙이 그토록 사랑하는 영욱을 국립대전현충원에 묻고 온 다음 날이었다. 그녀에게 전화가 왔다.

“장례식장에서 어떤 사람이 너 벼락부자 됐다고 그러더라? 나라에서 주는 보상금이 그렇게 많다던데? 너는 이제 딴 놈 만나서 잘 살겠다.”

연숙은 머리가 멍해지는 기분을 느꼈다. 명절마다 함께 웃던 시댁 식구가 영욱이 떠나자마자 연숙의 가슴에 비수를 꽂았다. 그녀가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일시 보상금은 2억 원 수준. 다른 돈이 있다면 전국 소방관들이 1만 원씩 모아 유가족들에게 전해주는 조의금 정도다. 시댁 식구가 연숙에게 한 이야기는 완전히 잘못된 말이었다. 연숙은 남편이 세상을 떠난 지 며칠이나 됐다고 허위 사실로 목숨값부터 따지고 드는 현실이 원통했다.

‘남편만 살아서 돌아올 수 있다면 보상금 같은 것들이 다 무슨 소용이야.’

궂긴 일은 연이어 찾아왔다. 남편이 떠나고 한 달 만에 시누이가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연숙은 초췌한 얼굴로 빈소에 앉아 있었다.

“이 집 남동생이 소방관인데 지난달에 죽었잖아.”

“그러면 지난달에 죽은 동생이 누나도 데려간 거야?”

얼굴도 모르는 조문객들은 그 소방관의 아내가 빈소에 앉아 있는지도 모르는 듯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를 이어갔다. 연숙은 그저 가만히 자리에 앉아 있었다.

남편의 영결식이 끝난 직후 외아들 이인이 사는 원주로 이사를 했다. 그곳에서도 연숙은 쉬이 잠들지 못했다. 복도에 발소리가 들리면 영욱이 바뀐 비밀번호를 몰라 집에 들어오지 못하고 있는 것만 같았다.

연숙은 퇴근한 아들과 마주 앉아 남편에 대한 시시콜콜한 기억을 나누곤 했다. 처음엔 아들 앞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눈물의 양만큼 슬픔이 옅어지지는 않았다. 연숙은 어느 날 “아들 앞에서 이렇게 맨날 울면 안 되는 건데”라고 혼잣말을 되뇌었다.

그러자 둘 사이에 영욱 이야기가 줄었다. 어느 순간부터 아들은 집에 늦게 들어왔다. 이유를 물어보면 “친구를 만나거나 야근을 하느라 늦었다”고 했다. ‘아무리 무뚝뚝한 아들이라지만 어쩌면 이렇게 내 마음과 다를까.’

아들이 없는 집에서 마음껏 슬퍼할 수 있으니 편하면서도, 아들이 남편을 잊은 것 같아 야속했다. 하루는 연숙이 아들을 붙잡고 물었다.

“너는 아빠 생각 안 나?”

아들이 놀란 표정으로 연숙을 바라봤다.

“엄마, 내가 아빠 자식인데 왜 생각이 안 나겠어요. 그렇다고 계속 울 순 없으니까….”

“네가 표현을 안 하니 아빠를 잊은 것 같아서 서운하잖아.”

“내가 아빠를 어떻게 잊어요. 그냥 마음속에 묻어두고 사는 거죠. 엄마 앞에서 매일 아빠 보고 싶다고, 슬픈 표정 지으면 엄마만 더 힘들잖아요.”

아들이 감정을 꾹꾹 담아 하는 말에 연숙은 뭐라 더 대꾸할 수가 없었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 눈물을 훔치고 있을 아들의 모습에 가슴이 미어졌다.

‘내 남편은 그저 불을 끄러 갔을 뿐이야. 그이가 무슨 잘못을 했다고….’

연숙은 속으로만 슬픔을 삼킨 채 아무런 말도 하지 못했다.

연숙의 불면증은 갈수록 심해졌다. 남편과의 기억은 매일 그녀의 몸과 마음을 후벼 팠다. 잠을 청하기 위해 홀로 술을 마셔 봐도 3시간 이상 잠들지 못했다. 그럴 때마다 연숙은 추모관 홈페이지에 들어가 남편에게 마음을 담아 편지를 썼다. 연숙은 그 시간만큼은 외롭지 않다고 느꼈다. 떠난 남편,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연결된 기분이 좋았다.

‘당신 없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싫어요. 그래서 밖을 잘 안 나가게 돼요. 당신의 빈자리가 점점 더 나를 힘들게 하는데, 나는 당신 전화번호를 누르고 있네요.’(

댓글 (0/400)자 이내 저장됩니다.)

댓글 0

구글 추천 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