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Push
폭염 속 침은 줄고 단 음료는 넘치고… 잇몸을 지켜라
⚽️⚽️축구⚽️⚽️
2025.08.01 17:09
60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로 치아 임플란트 보편 치료 시대에 접어들었다. 치과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며, 높은 내구성과 심미성을 가져 ‘제2의 영구치’라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자연치아와 마찬가지로 염증성 질환(임플란트 주위 점막염과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수 있고, 조기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제거 후 재수술까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자 임플란트 주위염 관련 치주과 전문의 의견을 수렴하고 도출한 합의 결과를 담은 보고서 발표됐다.

서울대치과병원 김윤정·구기태 교수, 중앙보훈병원 송영우 과장, 서울성모병원 치주과 박준범 교수 공동 연구팀이 임플란트 주변 질환 원인, 진단, 치료, 관리에 대한 최신 지견을 종합적으로 고찰했다.

연구 결과, 연조직에 국한된 염증인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의 유병률은 43%이고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22%로 조사됐다.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열악한 구강 위생, 치주염 병력, 당뇨병 및 흡연과 같은 전신 질환이며, 치료 결과는 임플란트 보철물의 디자인과 주변 연조직의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임플란트 주위염 질환의 질환별 주 치료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1)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으로 진단된 임플란트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 2) 임플란트 주위염의 영향을 받은 임플란트에 대한 기계적 및 화학적 처치 및 수술적 접근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치료 3) 실패한 임플란트 제거 후 기존의 임플란트 주위 골결손를 회복하는 치료로 나타났다.

치주질환은 누구나 한 번 이상 경험할 만큼 흔한 만성질환이다. 잇몸 조직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최근 우리나라 중년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조사됐다. 입속 잔여물에서 증식한 세균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치아의 뿌리와 만나는 잇몸 안쪽에만 염증이 생긴 치은염에서,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그 범위가 잇몸뼈(치조골)를 포함하는 주변 조직으로 확대돼 치주염까지 일으킬 수 있다.

치주염이 심하게 진행돼 영구치의 기능을 소실하게 되면 임플란트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영구치가 상실된 부위에 치아 뿌리를 대체할 금속인 티타늄을 심고 그 위에 인공치아 보철물을 연결해 영구치의 역할을 하게 도와주는 치료다. 식사 시 착용하고 취침 시 제거하는 틀니와는 달리, 턱뼈에 고정되고 강하게 씹는 힘에도 잘 견딘다.

서울대치과병원 구기태 교수는 “임플란트 주위 질환을 관리하려면 위험 평가, 맞춤형 치료 계획, 철저한 유지 관리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며 “정기적인 후속 조치와 환자 교육은 임플란트 주위염 재발을 막고, 방지하고 임플란트 치료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서울성모병원 치주과 박준범 교수는 “임플란트 치료는 잇몸치료와 신경치료로도 일상생활이 불편할 경우 고려할 것을 권한다”며 “평소 최대한 자기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 칫솔과 치실 사용 및 최소 연 1회 정기 검진과 스케일링으로 치아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이 연구는 공인 학술지인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JPIS)'에 최근 게재됐다.

댓글 (0/400)자 이내 저장됩니다.)

댓글 7

구글 추천 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