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Push
“해장으로 라면” 간·위 망치는 지름길… 이유는?
⚽️⚽️축구⚽️⚽️
10:05
58

주말이면 술자리를 계획하는 사람이 많다. 음주는 그 자체로도 건강에 좋지 않지만, 이후 안 좋은 후폭풍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음주 후 무심코 하는 몇 가지 습관이 식도 손상, 충치, 치아 변색 등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토하는 습관
술을 마신 뒤 억지로 토하는 행동은 식도에 큰 부담을 준다. 구토 과정에서 위산과 함께 소화효소가 역류하는데, 이 성분은 강한 산성을 띠어 식도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다. 반복되면 위·식도 경계가 느슨해져 역류성식도염으로 이어지거나 드물게 천공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속이 빈 상태에서 소화액 분비가 계속되면 위염이나 궤양 발생 위험도 커진다.

구토를 예방하려면 음주량을 조절하는 것이 최선이다. 부득이하게 많이 마셨다면 수분과 과일을 함께 섭취해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게 좋다. 속이 불편하더라도 억지로 토하기보다는 보리차나 매실차 같은 음료로 위를 편안하게 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한편, 의도하지 않았는데 반복적인 구토를 한다면 ‘알코올성 간경병증’의 증상일 수도 있다. 이는 잦은 술자리로 인해 간 조직에 염증이 생겨 간이 딱딱해진 것이다. 만약 음주 후 습관적인 구토와 함께 손바닥이 붉어지거나 가슴에 거미줄 모양으로 혈관이 도드라져 보인다면 알코올성 간경병증을 의심하고 내원해보는 게 좋다.

◇양치하지 않고 잠드는 습관
술을 마신 뒤 양치를 하지 않고 잠들면 충치가 생기거나 치아가 쉽게 착색된다. 술에는 당분이 많아 충치균의 먹이가 되고, 안주 역시 세균 증식을 돕는다. 게다가 알코올은 침 분비를 억제해 입안의 세정 작용과 항균 작용이 약화된다. 그 결과 하룻밤 사이에 충치가 진행될 수 있다.


음주로 인한 착색도 문제다. 알코올은 치아 표면인 에나멜층을 약화시키고 세균 번식을 돕는다. 특히 와인 속 탄닌, 맥주 속 폴리페놀은 착색을 촉진하는 성분이다. 이를 줄이려면 음주 중간중간 물로 입안을 헹궈 치아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얼큰한 음식으로 해장하는 습관
라면, 짬뽕 같은 자극적인 해장 음식은 술로 예민해진 위 점막에 부담을 준다. 또 간이 알코올 해독을 하느라 바쁜 상태에서 첨가물이 많은 국물 음식은 간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기름진 국물은 소화를 지연시켜 위에 부담을 더한다.

대신 콩나물국이나 북엇국 같은 음식이 숙취 해소에 적합하다. 콩나물의 아스파라긴산, 북어의 메티오닌 성분이 숙취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를 도와준다. 이와 함께 꿀물이나 전해질 음료를 마시면 포도당 수치가 보충돼 피로와 어지럼증 완화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숙취 때문에 두통이 있다고 해서 해열진통제를 먹는 것도 반드시 피해야 한다. 아직 분해되지 않은 몸속 아세트알데히드가 두통약의 아세트아미노펜 성분과 만나면 심각한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p

댓글 (0/400)자 이내 저장됩니다.)

댓글 8

구글 추천 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