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은 졸음운전 사망자가 일 년 중 가장 많은 달이다.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에 의하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총 9559건의 졸음운전 교통사고가 발생했으며 252명이 사망했다. 이중 8월에 발생한 사망자가 36명(14.3%)으로 가장 많다. 졸음운전 예방 및 대처법을 숙지해두는 게 바람직하다.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해야
운전할 때 졸음이 밀려온다면 창문부터 열자.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졸음, 두통 등을 유발해 졸음운전 가능성이 커진다는 도로교통공단 연구 결과가 있다. 도로교통공단 분석에 따르면, 승객이 많거나 환기가 미흡한 경우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더 커진다. 창문을 열고 들숨 날숨을 반복해 바깥 공기를 들이마시거나 차량 내 환기 장치를 사용해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면 된다.
◇약물 복용 주의
운전 전후로 졸음이나 집중력 저하를 유발하는 약물 복용은 삼가야 한다. 항히스타민이 들어있는 감기약, 알레르기약이 피해야 할 대표적인 약물이다.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든 약을 먹고 운전하는 건 혈중 알코올 농도가 0.1% 상태일 때의 음주운전보다 위험하다는 미국 아이오와대 연구 결과도 있다. 이외에 우울증약, 근육 이완제, 진통제 등을 복용한 직후에도 운전을 피하는 게 좋다.
◇간식이나 커피는 일시적 효과뿐
졸음운전을 피하기 위해 껌, 사탕 등 간식을 먹는 경우가 있는데 효과가 일시적이다. 무언가를 씹으면 관자놀이 근육이 움직이면서 대뇌피질을 자극해 졸음이 순간으로 졸음을 쫓는 효과가 있다.
다만, 오래 유지되지 않아 졸음이 다시 밀려온다면 휴게소, 졸음쉼터 등에서 쉬어가야 한다. 커피도 마찬가지다. 카페인은 피로를 유발하는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는 각성 효과가 있지만 대부분 섭취 후 한두 시간 이상 지나면 효과가 사라지기 시작한다. 사람마다 각성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맹신은 금물이다.
◇야식·음주 피하고 숙면에 집중
졸음운전 예방의 근간은 양질의 수면이다. 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잠에 들고 7~8시간은 충분히 자야 한다. 숙면을 위해 침실은 되도록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하며 필요 시 커튼, 안대, 귀마개 등을 사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 운전 전날에는 최소 수면 서너 시간 전에는 과식, 알코올, 카페인 섭취를 피해야 한다. 우리 몸은 수면할 때 호르몬을 분비해 낮에 소모했던 에너지를 회복하는데 소화를 위해 위장으로 혈액이 쏠리면 근육, 뇌 등 다른 부위 대사가 방해받는다. 숙면을 돕는 멜라토닌 분비량이 줄어 얕은 잠을 자게 되고 체내 호르몬 균형이 깨지는 등 다음날 피로가 가중된다.
댓글 7